[Web] UDF로 접하게 된 멀티쓰레딩 이슈

업데이트:



1. UDF 는 무엇일까

저는 hive에서 트래픽 데이터의 메타 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java 기반 UDF를 개발 및 유지 보수하고 있습니다.

UDF란 java를 이용해 만든 클래스를 쿼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함수인데요.

single row 를 input으로 받아서 single row를 output으로 반환합니다.

실제 구현은 GenericUDF 를 상속받아서 initialize 함수와 evaluate 함수를 오버라이딩해서 사용합니다.




2. 멀티 쓰레딩 이슈 발견

기존에는 hive에서 UDF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회사에서 databricks 라는 플랫폼을 도입하면서 databricks 환경에서도 해당 UDF를 사용해야 했습니다.


그런데 hive에서 UDF를 사용해서 집계한 결과와 databricks에서 UDF를 사용해서 집계한 결과가

다르게 나오는 문제가 발견되었습니다.


원인은 hive와 databricks의 동작 방식 차이에 있었는데요.

hive는 분산처리 방식이 프로세스 단위라서 worker node의 pid가 여러개 생기는 반면,

databricks는 멀티 쓰레드 방식으로 동작하였습니다.


UDF가 하는 역할이 트래픽 데이터의 버전에 맞는 meta 정보를 매핑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meta 정보 변수가 클래스의 필드 영역에 선언되었고,

이는 jvm의 method area 이라서 쓰레드가 공유하는 영역이었습니다.

즉 어플리케이션 메모리 상에 올려둔 meta 정보 변수는 critical section 으로 처리가 필요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한 임의의 예를 들면,

어떤 클릭에 대한 이벤트가 지난 주에는 메인 프로모션에 해당되어 가중치가 5였지만,

이번 주는 프로모션이 끝나서 가중치가 1이 되었다면 분석가 분들이 분석을 하실 때

각 버전에 맞는 가중치가 매핑되어야 정확한 레포트가 나올 수 있는 것입니다.




3. 해결 방법

웹 개발을 하면서 멀티 쓰레딩 이슈를 다뤄본 적은 처음 있는 일이었습니다.

선배 개발자 분의 단비같은 조언✨을 바탕으로 여러 방법으로 해결해볼 수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databricks의 spark.executor.cores 값을 1로 설정하는 것입니다.

각 executor가 실행하는 task를 1로 설정해서 싱글 쓰레드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속도상 이슈가 없어서 일정 기간 동안 이 방법으로 사용하였었습니다.

하지만 1로 설정해서 사용한다면 속도 면에서의 장점을 살릴 수가 없었습니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ThreadLocal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ThreadLocal은 각 쓰레드마다 독립적인 데이터를 보유하게 해주는 Java 클래스이기 때문에,

meta 정보를 공유 자원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해서 해결하는 것입니다.

단, 메모리 누수의 주범이 되니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참고 블로그 바로가기)


마지막 방법으로는, 현재 변수에 값을 write하는 부분을 synchronized 처리합니다. (lock 을 겁니다.)

멀티 쓰레드에서 문제가 되는건 읽고 쓰는 것 때문이라서,

쓰는 동안은 lock을 걸고, 읽기 전용 객체처럼 사용하면 멀티 쓰레드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결국, 코드 레벨에서 멀티 쓰레딩 문제를 해결하여

databricks에서 UDF 동작하는 속도를 2~3배 정도 개선하였습니다.🥳




4. IT 용어 메모

  • 동시성 : 일을 주고 쉬는 시간에 다른일을 함. 제한된 자원내에서 성능 좋음

  • 병렬성 : 일을 쪼개서 함. 자원을 높이면 성능도 올라감

  • Webflux(Reactive Stack) : 비동기 및 논블로킹 방식으로 동작. db도 non-blocking 지원해야 함. (MongoDB)

  • MVC(Servlet Stack) : 전통적인 동기 및 블로킹 방식으로 동작. one-request-per-thread. (대부분의 RDBMS)




카테고리:

업데이트: